강원도의 생태 이야기

‘부전투구꽃’ 아시나요? 북한 식물 남한 자생지 발견

경향 최승현 2017. 8. 28. 13:09

북한에 자생한다던 부전투구꽃, 개마투구꽃, 물뱀고사리 등이 강원도 일대에서도 자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.
산림청 국립수목원은 북한 식물인 부전투구꽃, 개마투구꽃, 물뱀고사리 3종의 남한 자생지를 최초로 확인했다고 밝혔다.

 

강원 정선, 태백 일대 해발 1200~1500m에서 자생지를 확인한 ‘부전투구꽃’.<국립수목원 제공>


부전투구꽃(Aconitum puchonroenicum Uyeki & Sakata)과 개마투구꽃(Aconitum kaimaense Uyeki et Sakata)은 1930년대 함경남도 신흥군 부전령, 장진군과 강원도 금강산 비로봉 등에서 채집된 표본을 기준으로 1938년 기록된 식물이다.

 

강원 정선, 평창, 홍천 등 해발 800m 이상의 중 산간 지역이나 찬바람이 나는 곳에서 자생지를 확인한 개마투구꽃의 모습. <국립수목원 제공>


물뱀고사리(Athyrium fallaciosum Milde)는 그 동안 중국과 북한의 함경북도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.

 

강원도 정선, 평창, 홍천 등 해발 800m 이상의 중 산간 지역이나 찬바람이 나는 곳에서 자생지를 확인한 '개마투구'의 열매. <국립수목원 제공>


국립수목원 연구팀은 강원 정선, 태백, 평창, 홍천 일대를 대상으로 조사를 벌여 이들 식물의 남한 자생지를 확인했다.

 

강원도 정선에서 자생지가 새롭게 밝혀진 물뱀고사리의 모습. <국립수목원 제공>


북한에만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식물들은 남북 단절로 인해 정확한 실체와 생육정보 확인에 한계가 있었다.

강원도 정선에서 자생지가 새롭게 밝혀진 물뱀고사리의 모습. <국립수목원 제공>


국립수목원 연구팀은 이번에 발견된 3종의 식물을 지속적으로 연구해 보전 가치를 규명해 나갈 계획이다.

 

국립수목원 산림생물표본관에 소장된 표본들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새롭게 밝혀진 ‘부전투구꽃’ 표본. <국립수목원 제공>